- 일·가정양립지원
- 일·가정양립지원이란?
일·가정양립지원이란?
일·가정양립 포털은 부산시민의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위해서 부산여성가족개발원에서 제작한 종합 정보 제공 사이트입니다.
일·가정양립 포털은 부산지역의 고용률을 증대하고,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도록 보육돌봄, 취업, 창업, 교육훈련, 가족친화기업에 대한 5가지 분야의 정보를 담았고, 맞춤정보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했습니다.
보육돌봄 분야에서는 임신출산기, 보육육아기, 자녀교육기의 지원정책과 제도에 대한 정보, 취업 분야에서는 부산지역의 일자리(여성우대 일자리, 시간선택제 일자리, 워크넷 지역 일자리, 부산지역 공공일자리)와 직업상담, 취업지원서비스에 대한 정보, 창업 분야에서는 각종 창업 지원 제도와 창업 교육에 관한 정보,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여성 특화 교육훈련과 다양한 수요에 부합되는 교육훈련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 가족친화기업 분야에서 직원들의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련된 가족친화인증, 인증 절차, 인센티브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가정양립 포털은 부산지역의 고용률을 증대하고,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도록 보육돌봄, 취업, 창업, 교육훈련, 가족친화기업에 대한 5가지 분야의 정보를 담았고, 맞춤정보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했습니다.
보육돌봄 분야에서는 임신출산기, 보육육아기, 자녀교육기의 지원정책과 제도에 대한 정보, 취업 분야에서는 부산지역의 일자리(여성우대 일자리, 시간선택제 일자리, 워크넷 지역 일자리, 부산지역 공공일자리)와 직업상담, 취업지원서비스에 대한 정보, 창업 분야에서는 각종 창업 지원 제도와 창업 교육에 관한 정보,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여성 특화 교육훈련과 다양한 수요에 부합되는 교육훈련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 가족친화기업 분야에서 직원들의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련된 가족친화인증, 인증 절차, 인센티브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일·가정 양립이란?
- 근로자가 자녀의 출산과 육아에 어려움 없이 일과 가정생활을 조화롭게
수행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인용 출처 : 2015년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
목표
“우리가 함께 한다면 건강한 가정, 행복한 직장,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일·가정양립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와 부부관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근로자의 직장 만족도와 업무 몰입도, 기업의 우수인재 유치율과 생산성, 국가의 출산율과 생산성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입니다.
기꺼이 아이를 낳아 키우고 동시에 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일·가정양립 정책의 안정적인 추진이 필요합니다. 일·가정양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시간근로 개선, 가족친화 기업 문화 조성, 양성평등 문화 확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공보육 강화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일·가정양립의 가능성이 높아지면 여성의 고용 증대와 출산율 제고 뿐 아니라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건강한 아동발달, 자녀 보육과 돌봄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인용 출처 : 2015년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
전략
- 근로자 임신, 출산, 양육지원 근로시간제도 개선
- 여성의 재취업 지원, 여성의 경력유지 지원
- 일·가정양립가능한 사회문화
- 자녀 양육걱정 없는 보육돌봄
목표
- 가정생활을 배려하는 직장환경 조성
- 즐겁게 일할수 있는 여성 일자리
- 지역 일·가정양립 지표관리, 일 ·가정양립 통합 정보 제공
- 일하는 부모 맞춤 보육 체계 직장어린이집 확대·내실화
비전
일·가정 양립을 통해 건강한 가정, 행복한 직장, 조화로운 사회
부산현황
현재 부산의 일가정양립은?
보육시설 현황
(단위 : 개)
구분 | 어린이집수 (2015) | 유치원수 (2015) | 직장어린이집 (2015) | 아이돌보미 서비스 기관 (2015) |
---|---|---|---|---|
개소 | 1,971 | 403 | 32 | 11 |
- 출처
- 1) 어린이집 수: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 2) 유치원 수: e-지방지표· 교육여건· 유치원수(시도)
- 3) 직장어린이집: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 4) 아이돌보미 서비스 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3 아이돌봄 지원 사업 결과 보고서」
일ㆍ가정양립 지원제도 인지도(2015)
(단위 : %)
구분 | 출산(전후) 휴가제 | 배우자 출산 휴가제 | 육아휴가제 | 직장보육 지원 | 육아기근로시간 단축제 | 가족돌봄 휴직제 | 유연근무제 |
---|---|---|---|---|---|---|---|
비율(%) | 79.2 | 67.1 | 76.4 | 45.5 | 41.1 | 40.2 | 49.7 |
출처: 국가통계포털 KOSIS, 사회조사
가족친화인증 기업체 현황(누적합계)
(단위 : 개)
구분 | 2017 |
---|---|
계 | 171 |
대기업 | 12 |
중소기업 | 100 |
공공기관 | 59 |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및 실태(함께 살고 있는 부부)(2016)
(단위 : %)
구 분 | 부인이 전적으로 책임 | 부인이 주로 하지만 남편도 분담 | 공평하게 분담 | 남편이 주로 하지만 부인도 분담 | 남편이 전적으로 책임 | |
---|---|---|---|---|---|---|
견해 | 4.3 | 38.1 | 54.9 | 1.9 | 0.7 | |
실태 | 남편 | 33.4 | 49.4 | 14.1 | 2.8 | 0.3 |
부인 | 35.3 | 45.1 | 18.1 | 1.5 | - |
출처: 국가통계포털 KOSIS, 사회조사
육아휴직 이용현황
(단위 : 명, %)
지역 | 2014년 | 2015년 | 증가율 | |||
---|---|---|---|---|---|---|
여성 | 남성 | 여성 | 남성 | 여성 | 남성 | |
부산 | 1,699 | 56 | 1,878 | 74 | 10.5 | 32.1 |
(4.7) | (3.6) | (4.6) | (3.3) |
출처 :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5.5.18.)
최종수정일 :
2018-03-22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